유산균은 냉장 보관해야 할까요? 실온 보관해도 될까요? 유튜브에서 좋은 정보를 제공하고 있는 리틀약사님과 유명한 약들약의 고약사님 두 분은 같은 주제에 대해 각자 자신만의 방식으로 설명한 영상이 있어 그 내용을 소개해드립니다. 그럼 시작해볼까요?
유산균 보관방법 왜 중요할까?
유산균을 처음 만들때 공장에서 배양합니다. 이 때는 당연히 유산균이 살아있습니다. 이 유산균을 제품화하기 위해서 동결건조라는 공정을 거치게 됩니다. 동결건조란 매우 낮은 온도로 수분을 동결시킨 후 제거하는 공정을 말하는데요. 쉽게 말해 유산균이 일시적으로 죽어있다가 특정 환경에서 살아나는 냉동인간처럼 만드는 과정입니다. 이렇게 가공된 유산균은 온도, 빛, 공기에 노출 등 여러 환경에 의해 사멸되기도 하고 섭취 전까지 잘 살아있는 상태로 유지되기도 합니다. 따라서 유산균의 보관방법은 매우 중요하다고 할 수 있습니다.
냉장보관? 실온보관? 무엇이 좋을까
결론부터 말씀드리면 유산균은 냉장보관, 즉 저온유지상태로 유지하는 것이 좋습니다. 물론 특정 균마다 온도에 대한 저항성이 다른 것은 사실입니다. 하지만 어떤 유산균 균주를 막론하고 냉장보관이 실온 보관보다 균수를 유지하는데 유리하다고 할 수 있습니다.
실온 보관은 나쁜 것일까?
냉장보관이 실온보관보다 좋은 것은 사실이지만 그렇다고 실온 보관이 무조건 나쁘다고 할 수는 없습니다. 유산균 제조회사는 처음부터 실온 보관을 감안하고 유산균을 제조하기 때문입니다.
영양 기능 정보란에 보장균수라는 게 적혀있는데요. 이것은 유산균 제조회사에서 투입한 균이 섭취 직전가지 살아서 보장되는 균의 총 수를 뜻합니다. 예를 들어 보장 균수가 10억 인 유산균 제품은 유통과정과 실온 보관 중에 사멸되는 유산균을 감안하여 제조 시 그 이상의 유산균을 투입하여 제품을 만듭니다.
따라서 유산균을 냉장보관해서 먹는다면 유산균에 표시된 보장균수보다 더 많은 유산균을 섭취할 수 있게 될 가능성이 높아집니다.
유산균은 체온이 36.5도인 우리 몸 안에서도 사는데 실온에 둬도 되지 않을까요?
유산균의 생존은 온도 외에도 다른 여러 환경에 영향을 받습니다. 우리 몸속에는 수분과 유산균의 먹이가 있고 생존할 수 있는 환경이 갖춰져 있습니다. 하지만 외부에 노출되는 것은 섭취 후에 우리 몸속의 환경과 전혀 다릅니다.
온도에 따른 유산균 생존 실험
유튜브'약사가 들려주는 약 이야기'의 고약사님은 실제로 온도가 유산균의 생존에 얼마나 영향을 미치는지 실험을 진행했는데요.
유통기한까지 동일한 같은 유산균 제품을
- 냉장상태 4일 보관
- 35도에서 4일 보관
- 45도에서 4일 보관
이렇게 세 가지 환경에 노출시키고 각각 유산균 균 수검사를 의뢰했습니다. 높은 온도에서 보관한 유산균은 육안으로 보아도 냉장보관 한 유산균에 비해서 색이 변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.
실제 실험결과는 굉장히 놀라웠는데요. 냉장보관한 유산균은 150억, 35도에 보관한 유산균은 50억, 45도에 보관한 유균은 2.5억이 나왔습니다. 물론 유산균 제품마다 차이가 있을 수는 있지만 유산균이 열에 매우 민감하다는 사실은 분명한 것 같습니다.
오늘은 유산균을 냉장보관해야 하는 이유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. 전문가들이 인정하고 후기로 검증된 유산균 제품은 아래 상품링크를 참조해주세요!
후기 10,000개 이상 검증된 유산균 제품
![]() |
자로우 EPS 도피러스 유산균 29,000원~ 최대후기(24,099) ![]() |
![]() |
헬시오리진 유산균 20,400원~ 최대후기(10,280) ![]() |
![]() |
자로우 펨 도피러스 우먼 21,020원~ 최대후기(48,587) ![]() |
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.(구매자에게 비용이 발생하지 않습니다)
'건강 꿀팁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소식 다이어트 이렇게 하면 소식해도 포만감이 2배로 올라갑니다 이지은 다이어트 (0) | 2022.06.07 |
---|---|
거북목 증후군을 개선하는 수건 이용한 스트레칭 운동 정말 시원하네요 (0) | 2022.05.29 |
속 더부룩 위통 속쓰림을 해결하는 대표 영양제 2가지 엔자이메디카 쏜리서치 GI 약들약 고약사 (0) | 2022.05.19 |
저탄수화물 식단 다이어트를 위해 하루 탄수화물 섭취량 조절하는 3가지 방법 (0) | 2022.05.14 |
엉덩이근육 운동을 꼭 해야하는 5가지 이유 전문가들이 증명한 건강효과 (0) | 2022.05.01 |